인프런에서 '백기선의 스프링 프레임워크 핵심기술' 이라는 강의를 꾸준히(?) 수강하고 있다. 오늘은 AOP에 대한 강의를 들었고, 정의하려고 한다. 이전에 AOP 관련되서 글을 정리한적이 있는데, 다시 봤는데! 나름 괜찮다!AOP : https://lkhlkh23.tistory.com/122프록시 패턴 : https://lkhlkh23.tistory.com/133AOP 정의 및 용어에 대한 설명은 내가 작성한 [AOP] 의 글을 참고하면 된다. 추가적으로 AOP를 적용할 수 있는 방법 3가지를 정리하겠다.Weaving 이라는 단어는 Target(로직을 적용할 대상) 객체에 Aspect (로직)를 적용해서 Proxy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Weaving을 하는 방식에는 아래와 같이..
인프런에서 '백기선의 스프링 프레임워크 핵심기술' 이라는 강의를 수강하고 있다. 오늘은 ioc 컨테이너와 빈에 대해서 정리하려고 한다. 강의에서는 ioc를 의존 관계 주입 (Dependency Injection) 이라고도 하며, 어떤 객체가 사용하는 의존 객체를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아닌, 주입 받아 사용하는 방법이라고 정의했다. 의존객체 : bean의존 객체 주입 : ioc 컨테이너ioc 컨테이너는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구성이 되있다. 여기서 가장 상위 인터페이스인 BeanFactory와 ApplicationContext 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BeanFactory : https://docs.spring.io/spring/docs/current/javadoc-api/org/springfram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