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패턴1 이벤트 사이트' 를 시작하기 전에 간단한 내용 정리부터 시작하려고 한다.
What is EBS
EBS 라고 하면 ... 교육방송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AWS 에서 EBS 는 Elastic Block Store 의 약자이다.
사용이 쉽고 확장 가능한 고성능 블록 스토리지 서비스로서, 일종의 하드디스크 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쉽다.
하나의 EBS 에 여러 개의 EC2 를 연결 할 수 있다. (1 : N)
- 필요한 용량에 맞게 구입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 즉시 생성/삭제 가능
- 사용한 만큼 과금 되는 종량제
- 내부적으로 데이터를 실시간 복제하고 있기 때문에 하드디스크에 비해서 데이터를 잃어버릴 확률 낮음
- 스냅샷 기능을 제공해서 EBS의 현재 상태 그대로 보존 할 수 있으며 스냅샷을 이용해 EBS 생성 가능
- CloudloudWatch를 통해서 EBS의 통계를 열람 가능
- 인터넷을 통해 외부에서 접근 불가
위와 같은 특성을 보면, S3 (Simple Storage Service) 와 역할이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S3는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인터넷용 스토리지 (온라인, HTTP 기반 액세스)
- 버킷을 생성하여 버킷 내부에 오브젝트 단위로 파일 저장 (버킷은 최대 100개까지 생성 가능)
- 인터텟을 통해 접근이 가능한 스토리지이기 때문에 스테틱한 자원 지원에 적합
- 웹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스토리지
- 고도의 확장성, 안정성, 속도 및 내구성
그렇다면 S3 와 EBS 의 차이는 무엇일까?!
첫번째, 저장방식.
EBS 는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나누어 저장하고, 블록들을 조합해서 데이터를 조회하는 블록기반의 저장방식을 취하고 있다.
반면, S3 는 데이터를 하나의 오브젝트로 저장하고, 오브젝트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키를 발급받는다. 그리고 데이터를 조회할 경우에는 고유키를 이용해서 조회를 한다.
두번째, 성능. EBS 가 S3 보다 빠르다.
세번째, 데이터의 중복성.
EBS 는 하나의 가용영역에서 여러 서버의 걸처 복제되어 저장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중복성이 존재할 수 있다.
반면, S3 는 3개의 가용영역에 저장이 되어 중복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S3 와 EBS 어느 상황에 가장 적합할까?!
인터넷을 통해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static resource 조회를 할 경우에는 S3 가 더 적합하다.
반면, EC2 가 삭제되어도 영구적으로 보관이 필요한 자원을 저장/조회할 때는 EBS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What is route53
가용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클라우드 기반 DNS 웹 서비스로서 도메인 이름을 IP 로 변환한다. 동적으로 사용자에게 노출할 DNS 레코드 타입과 값이 조정 가능하다. health check 를 통해 연결된 인프라의 상태 체크가 가능하며, cloudwatch 와 연계하여 알람 기능이 가능하다. failover 대비하여 secondary 인프라로 리디렉션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다양한 라우팅 방식을 지원한다.
- 지연시간 기반 라우팅
- 리전 기반 라우팅 (사용자와 서비스의 물리적인 거리가 가까울 수록 지연 느림)
- 가중치 기반 라우팅
참고
- https://opentutorials.org/course/608/3005
- https://joalog.tistory.com/106
- https://velog.io/@wlsrud9881/route53
- https://aws-hyoh.tistory.com/49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턴2 기업 웹사이트 - 1 (0) | 2022.05.24 |
---|---|
패턴1 이벤트 사이트 - 2 (0) | 2022.05.10 |
배워서 바로 쓰는 14가지 AWS 구축 패턴 (0) | 2022.05.08 |